버팀목 전세 대출을 받으신 분 중에 자칫하면 하고 이것을 모르면 버팀목 대출 회수 당하실 수 있는데요. 이 글에서는 버팀목 전세 대출의 2023년 개정 내용과 그 영향, 회수 주의 사항을 안내해드립니다.
버팀목 전세 대출 회수
버팀목 전세를 이용하면 안 되는 사람이 있어요. 내가 버팀목 전세로 살고 있는데 한 1년쯤 지났더니 좋은 집이 나왔을 때 갭투자를 해야 될 것 같아요. 왜냐면 요즘 아파트 값이 너무 떨어졌잖아요. 그러니까 욕심이 나는 거죠.
그리고 요즘 전세 대출이 종류가 상당히 많아요. 그리고 최근에 전세대출이 많이 일어나고 있지 않아요. 그게 왜일까요. 요즘 집주인들이 세입자 다 어디 갔는지 모르겠어 아니 그 많던 세입자는 다 어디 갔을까요. 저 세입자 안 구해줘서 큰일이에요 이런 얘기를 정말 저한테 많이 하거든요. 그래서 저 세입자가 안 구해져서요 그냥 주택담보대출을 받아야 될 것 같아요. 주택담보대출 받고 반전세 내지는 월세로 세팅하려고요. 이렇게 얘기하는 분들이 정말 많아요.
23년 전세 세입자 구하기 힘든이유
그게 두 가지 이유 때문이 아닐까라고 저는 생각을 하는데요.
- 첫 번째는 전세대출 금리가 올랐기 때문이에요 예전에는 전세대출 금리가 정말 낮았거든요 2%대였잖아요. 그러다 보니까이 전세대출로 이자를 내는게 월세보다 훨씬 쌌어요. 그러니까 당연히 전세를 선호하게 됐으니까 많은 분들이 이제 대출을 받아서 이용을 했고요. 그러다 보니 세입자 구하기가 훨씬 쉬웠겠죠.
- 두 번째는 요즘 사기에 대한 얘기 정말 많이 나오고 집값이 하락을 하다 보니까 깡통 전세를 걱정을 하는 분들이 있어요. 그래서 내가 전세로 들어갔다가 사기당한 거면 어떡해 뭐 이런 걱정들을 좀 하시기 때문에 월세를 조금 선호한다 이게 두 가지가 맞물리다 보니까 아무래도 전세보다는 월세를 이제 선호하게 되는 거 같고요.
하지만 이게 계속해서 월세로 선호를 할 순 없어요. 임대인들은 바보가 아니에요 내가 그 이자가 오르면 당연히 월세를 올릴 수밖에 없는지 그런 구조가 되더라고요. 작년에 월세를 구할 때가 있었거든요 그래서 월세를 구하는데 그때 40만 원이었어요. 그랬는데 최근에 그런 월세 지금 얼마일까라고 했더니 55만원 올라있더라고요. 그러니까 집주인들도 이자 부담이 크니까 당연히 월세로 전가를 시킬 수밖에 없는 그런 상황이 되다 보니까 지금 인플레가 가장 심각한 이유 중에 하나가 임대료가 상승을 하고 있는 것도 굉장히 큰 영향이거든요.
버팀목 전세 대출 2023년 개정 내용
대출을 받는 세입자들 입장에서는 그럼 저는 어떻게 하면 좋아요. 라고 고민들을 많이 하는데 정부 지원 상품으로 버팀목 전세라는 것이 있어요. 버팀목 전세상품 같은 경우는 금리가 상당히 저렴한 그런 매력이 있는데 이번에 버팀목 전세 대출 중에서 청년과 신혼부부에 대해서 한도를 늘려줬어요.
예를 들면 청년은 어떻게 바뀌었냐면 보증금에 한도가 3억으로 바뀌었고요. 대출 한도는 2억까지로 늘어났고요. 신혼부부는 또 수도권과 지방으로 나눠져요 수도권에서는 보증금이 4억까지 전세대출의 한도는 3억까지 그리고 지방에서는 보증금이 3억까지 전세대출의 한도는 2억까지 다 구분이 되어 있기 때문에 굉장히 복잡한데 그냥 나한테 맞는게 어떤 것인가라는 것만 살펴보면 될 것 같은데, 누가 추천해주면 좋을 것 같은데 라는 생각을 들게해요. 2023년 개정된 버팀목 전세 대출이 궁금하시면 버팀목 전세 대출 총 정리(2023년 개정판, 한도 확대) 참고해보세요
그리고 조금 아쉬운 거는 뭐 청년과 신혼부부만 전세를 사는 건 아니잖아요. 일반인들도 사는데 이런 일반인 분들은 달라진 것은 없습니다. 또 소득제한이 있어요. 그래서 청년 같은 경우는 3천5백만원 이하의 소득인 무주택 세대주만 가능하고요. 그 다음에 신혼부부는 소득이 6천만원 이하인 무주택 세대주만 가능합니다. 내가 전세대출을 구하고 싶다라고 할 때는 첫 번째 정부 상품에 내가 해당이 되는지 확인을 먼저 하는게 좋고요. 해당이 된다라고 하면 이용을 하면 좋겠죠.
버팀목 대출 회수
근데 여기서 버팀목 전세를 이용하면 안 되는 사람이 있어요. 내가 버팀목 전세로 살고 있는데 한 1년쯤 지났더니 좋은 집이 나왔어 내가 갭투자를 해야 될 것 같아 그래서 갭투자로 집을 구입했어요. 아무 생각 없이 갭투자 해야지 뭐 이러면서 집을 사는 분들이 있는데 버팀목 전세 같은 경우는 집을 매수를 하면 상환을 하라고 연락이 와요. 즉 대출이 회수 되는거죠.
그럴 때 내가 상환할 돈이 없으면 대환을 해야 되는데 전세대출은 중간에 대환이 되지 않아요. 즉 다른 전세대출을 받아서 기존 버팀목 전세를 갚아야 되는데 이게 안되요. 이런 경우 이제 2금융권의 고금리 전세 대출을 받아서 대환을 할 수가 없으니까 굉장히 높은 금리로 갈 수밖에 없어요.
지금이 금융권 전세대출 같은 경우는 금리가 6%에서 8% 정도 나와요. 카카오 전세대출은 비대면으로 해서 편한데 금리는 제가 찾아보니 5프로 후반정도 되더라구요. 결국 내가 집을 사면이 버팀목 전세대출은 상환을 하고 갭투자 한 집을 입주를 해야 되겠다 이런 생각으로 구입을 하면 괜찮지만 아 내가 뭐 그냥 전세를 이용을 하면서 집도 사야 되겠다 이렇게 생각을 하면 안 됩니다.
추가로 버팀목 전세 대출을 받는 분 중에 중간에 연봉이 올라서 조건이 변경되거나 아님 이직이나 휴직 복직을 하셔서 조건이 바뀐 경우가 많구요. 혹은 이사를 가는 경우도 있는데요. 이럴 때는 그냥 계약 기간이 끝날때까지 관계없이 유지가 된답니다. 하지만 연장을 할 때 금리가 상승하거나 거절이 될 수도 있습니다. 반면 자녀가 생기면 오히려 금리를 더 낮추어주니 우대 금리 부분을 잘 참고하셔서 금리 비교하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우대 금리 관련해서는 옆의 링크 참고해보세요.
전세대출 이자 비교 2%대 금리찾기 5단계(2023년 최신)>>
대출 금리
이 버팀목 전세대출은 도대체 금리가 그럼 얼마나 저렴하냐면 청년전세대출 같은 경우는 금리가 1.5에서 2.1% 사이 정말 좋죠. 그리고 신혼부부 전세대출 같은 경우는 금리가 1.2에서 2.1% 사이 나오기 때문에 여러분들이 이용만 할 수 있다라고 하면 최고의 전세대출이라는 생각이 들고 있거든요. 그래서 많은 분들이 활용을 하면 좋을 것 같습니다.[버팀목 전세 대출의 좀 더 자세한 내용이 궁금하시면 링크 참고해보세요 2023년 청년 버팀목 전세 대출 개정, 1.5%금리로 갈아타세요(월30만원 절약)]
전세 반환 보증 한도 상승
그리고 다른 장점은 뭐냐면 재택금융공사 보증서에 전세 자금 보증 한도가 4억으로 상향을 했다 그래서 11일부터 이용할 수 있는데 재택금융공사 보증서에 최고 보증한도가 2억이었는데 4억으로 늘어났으니까 여기서 좋은 거는 누구냐면 임대인이 법인이거나 외국인이거나 미성년자 이런 경우는 집주인의 동의가 필요 없기 때문에 주택금융사 보증서를 많이 이용을 했는데 이런 상담을 받으러 은행에 이렇게 막 가잖아요.
은행에 가서 저 전세대출 받을 건데요. 라고 하면 대부분의 은행원들은이 주택금융공사 보증서에 대한 안내만 해요. 그게 왜 그러냐면이 주택금융공사 보증서 같은 경우는 소득의 없는 분들은 전세대출이 되지 않거든요. 물론 무직자라도 인정 소득 받는 방법이 있긴 있어요 [관심있으면 참고해보세요 : 무직 주부 소득증빙-인정소득(2023년)]그리고 은행 입장에서도 부실 위험이 훨씬 줄어들죠. 소득이 있는 분들이 이자를 안 낼 위험성은 소득이 없는 분들보다는 훨씬 더 낫거든요. 그래서 훨씬 더 선호하는 상품인데 보증한도를 올려줬기 때문에 좋은 점도 있죠.
특히 법인인 경우 주택금융공사 보증서 때문에 대출 한도가 적은 분들이 많이 있어 전세를 싸게 받을 수 밖에 없었거든요. 예를 들면 법인인데요. 분양받은 아파트를 전세 놓을 건데 그럼 대출 한도가 얼마예요. 라고 물어본다라고 하면 법인인 경우에 원래 대출 한도가 2억 2200만원 이었잖아요. 근데 이제 4억까지 늘어난다고 하니 법인 임대인들 같은 경우는 보증금을 조금 더 올려 받아도 대출 한도가 늘어나서 세입자를 구하기가 조금 더 수월해지지 않을까 라는 생각을 하게 되었어요.
그리고 더 좋은 분들은 전세가가 오르분들 세입자분들은 더 좋습니다. 보증 한도도 올라가고 대출도 더 받을 수 있으니 전세가 올라도 걱정이 없기 때문인데요. 전세 대출 갈아타기가 가능한 것이죠. 전세 대출 갈아타기가 궁금하신 분들은 링크 참고해보세요 2023년 청년 버팀목 전세 대출 개정, 1.5%금리로 갈아타세요(월30만원 절약)
오늘은 버팀목 전세 대출의 2023년 개정 내용과 그 영향, 대출 회수 주의 사항에 대해서 이야기 해봤어요. 추가로 전세 대출 금리가 저렴한 것을 찾으시는 분들은 전세대출 이자 비교 2%대 금리찾기 5단계(2023년 최신)을 찾아보시면 좋을 것 같아요.